2026년 유치원, 초등학교, 중학교, 고등학교 교원 봉급이 3.5% 인상됩니다. 교육 공무원으로 첫발을 내딛는 신입 교사분들, 내 월급이 얼마나 인상되는지 궁금하시죠? 아래 계산기 버튼을 통해 호봉만 선택하면 2026년 월급을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2025년 기준 교원 봉급표
아래 표는 교육부 고시 기준, 교원(유치원~고등학교) 2025년 월급입니다.
📌 2026년에는 해당 금액에 3.5% 인상률이 적용됩니다.
자신의 호봉을 알고 계시다면, 자동 계산기로 인상된 금액을 확인해보세요!
공무원 수당 종류
공무원 급여는 단순한 월급이 아닙니다. 기본급 외에도 다양한 수당이 함께 지급되며, 그 종류는 총 18가지에 이릅니다.
수당은 공무원의 생활 환경, 업무 형태, 직급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.
① 인센티브 성격의 수당 (3종)
- 정근수당: 근속기간에 따라 월급의 10~50%를 연 2회 지급
- 정근수당가산금: 매달 3만 원에서 최대 13만 원 추가 지급
- 성과상여금: 평가 결과에 따라 0%~172.5%까지 차등 지급 (연 1회 이상)
② 생활비 보전용 수당 (4종)
- 가족수당: 배우자 4만원, 자녀 1인당 5만~12만원 지원
- 자녀학비보조: 재외공무원 자녀 교육비 일부 지원
- 주택수당: 군인 및 해외 근무자 등 일부 대상자 지급
- 육아휴직수당: 육아휴직 기간 중 최대 월 450만원까지 보전
③ 지역 및 직무 특성 수당 (5종)
- 도서·벽지근무수당: 근무지가 외딴 지역일 경우 월 3~6만원 지급
- 위험근무수당: 위험도 높은 업무에 종사할 경우 월 4~6만원
- 특수업무수당: 업무의 난이도나 특수성에 따라 별도 지급
- 업무대행수당: 휴직자의 업무를 대신할 경우 월 20만원
- 군법무관수당: 기준 봉급의 최대 35% 이내에서 지급
④ 초과근무 및 관리자 수당 (2종)
- 초과근무수당: 5급 이하 공무원이 야간 또는 휴일 근무 시 발생
- 관리업무수당: 4급 이상 간부에게는 기본급의 9% 추가 지급
⑤ 실비 및 복지성 수당 (4종)
- 정액급식비: 매달 14만원 고정 지급
- 직급보조비: 직급에 따라 차등 지급 (예: 9급 17.5만원 ~ 1급 75만원)
- 명절휴가비: 설·추석 명절에 월급의 60%씩 연 2회 지급
- 연가보상비: 사용하지 않은 연차에 대해 금전으로 보상
💡 위 수당은 공무원의 직종, 직위, 경력, 근무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, 정확한 지급 조건은 인사혁신처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세요.
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2026년 공무원 월급은 얼마나 오르나요?
A. 2025년 대비 평균 3.5% 인상되며, 기본급(봉급)에 직접 반영됩니다.
Q2. 수당도 함께 오르는 건가요?
A. 수당 인상 여부는 별도로 공지되며, 현재는 봉급 인상만 발표된 상태입니다.
Q3. 공식 봉급표는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나요?
A. 인사혁신처 홈페이지에서 연도별 봉급표와 수당 안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Q4. 자동 계산기의 결과는 실제 월급과 차이가 없나요?
A. 자동 계산기는 2025년 봉급표 기준에 3.5%를 반영한 금액이며, 실제 월급은 수당 포함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