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6년 군인 봉급이 3.5% 인상됩니다.
초임 하사부터 소장급까지, 본인의 계급과 호봉에 따라 월급이 얼마나 오를지 궁금하시죠?
복잡한 계산은 필요 없습니다. 아래 계산기를 통해 2026년 예상 봉급을 바로 확인해보세요!
2025년 군인 봉급표
2026년에는 여기에 평균 3.5%가 인상되어 적용됩니다.
군인 보수 = 봉급(기본급) + 각종 수당
아래 계산기에서 본인의 계급과 호봉을 선택하면, 2026년 인상된 예상 월급을 자동 계산해드립니다!
공무원 수당 종류
공무원의 월급은 기본급(봉급)뿐만 아니라 다양한 수당을 포함합니다.
2025년 현재, 총 18종의 수당이 지급되며 이는 직급, 근무 환경, 근속 연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① 성과·근속 관련 수당
- 정근수당: 근속기간에 따라 봉급의 10~50%를 연 2회 지급
- 정근수당 가산금: 매월 3~13만 원 정액 지급
- 성과상여금: 평가등급에 따라 기준액의 최대 172.5% 지급 (연 1회 이상)
- 가족수당: 배우자 4만 원, 자녀당 최대 12만 원
- 주택수당: 군인 및 재외공무원 일부 대상 지급
- 육아휴직수당: 최대 월 450만 원까지 지원
- 자녀학비보조수당: 재외공무원에 한해 지급
- 특수지근무수당: 도서, 벽지, 접경지 근무 시 월 3~6만 원
- 위험근무수당: 위험 직무 종사자에게 월 4~6만 원
- 특수업무수당: 직무 특성·난이도에 따라 별도 지급
- 업무대행수당: 육아휴직자 업무 대행 시 월 20만 원
- 군법무관수당: 해당 계급 봉급의 최대 35%
- 초과근무수당: 5급 이하 대상, 야근·휴일 근무에 따라 지급
- 관리업무수당: 4급 이상에게 봉급의 9% 정률 지급
- 정액급식비: 월 14만 원 정액 지급
- 직급보조비: 9급 17.5만 원 ~ 1급 75만 원
- 명절휴가비: 설·추석 각각 봉급의 60%
- 연가보상비: 사용하지 않은 연차에 대한 보상
※ 수당은 소속 기관, 직종, 지역 및 개인 사정에 따라 지급 조건과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
자세한 수당 기준은 인사혁신처 수당제도 안내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자주 묻는 질문 (Q&A)
Q1. 2026년 공무원 급여는 얼마나 오르나요?
A. 2026년부터 기본급(봉급)이 평균 3.5% 인상됩니다.
Q2. 수당도 같이 오르나요?
A. 수당은 별도 고시 대상입니다. 2026년 현재까지는 봉급만 인상 확정되었습니다.
Q3. 정확한 월급은 어떻게 알 수 있나요?
A. 2025년 기준 봉급표에 3.5%를 자동 반영한 계산기를 통해 2026년 예상 월급을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Q4. 인사혁신처에서 직접 확인하고 싶어요.
A. 인사혁신처 홈페이지에서 봉급표 및 수당 고시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Tags:
money